LESSON 95.
I am one Self, united with my Creator.
I am one Self, united with my Creator.
“나는 나의 창조주와 하나로 결합된 한 참나(Self)입니다.”
오늘의 제목 자체가 핵심 사상 몇 가지를 담고 있습니다.
먼저 창조는 동질성의 확장입니다. 따라서 창조와 창조물은 하나입니다. 창조는 다른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닙니다. 사랑의 끊임없는 확장이 곧 창조입니다. 특히 우리는 신의 마음이 창조한 것으로서 당연히 신과 하나입니다. 이렇게 창조된 우리는 당연히 하나일 수 밖에 없습니다. 너와 내가 분리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한 아들, 한 참나 안에 하나로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 참나는 동시에 창조주와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참나는 나의 참나와 너의 참나가 각각 존재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One Self = one Son = one Christ => united with the Creator(God, Father).
W-pI.95.1. Today's idea accurately describes you as God created you. 2 You are one within yourself, and one with Him. 3 Yours is the unity of all creation. 4 Your perfect unity makes change in you impossible. 5 You do not accept this, and you fail to realize it must be so, only because you believe that you have changed yourself already.
우리가 신과 하나이듯이 우리는 모든 창조와 하나입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창조는 하나의 확장입니다. 하나는 당연히 변할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이미 우리 자신을 바꿨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이 사실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바꿨다는 것은 곧 우리가 아버지와 하늘로부터 떨어져 나오기로 결정한 것을 말합니다.
(T-18.I.4) You who believe that God is fear made but one substitution. It has taken many forms, because it was the substitution of illusion for truth; of fragmentation for wholeness. It has become so splintered and subdivided and divided again, over and over, that it is now almost impossible to perceive it once was one, and still is what it was. That one error, which brought truth to illusion, infinity to time, and life to death, was all you ever made. Your whole world rests upon it. Everything you see reflects it, and every special relationship that you have ever made is part of it.
(T-18.I.5) You may be surprised to hear how very different is reality from what you see. You do not realize the magnitude of that one error. It was so vast and so completely incredible that from it a world of total unreality had to emerge. What else could come of it? Its fragmented aspects are fearful enough, as you begin to look at them. But nothing you have seen begins to show you the enormity of the original error, which seemed to cast you out of Heaven, to shatter knowledge into meaningless bits of disunited perceptions, and to force you to make further substitutions.
위의 인용문은 그 하나의 잘못이 얼마나 엄청난 환상을 일으켰는지 말해줍니다. 총체적인 비(非)실재의 세상이 일어나야만 할 정도였으니까요. 우리가 지금 이 환상의 세상 안에 있다는 것을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 분리되고 쪼개진 세상이 우리가 지각하는 세상이며, 이 모든 것은 단 하나의 잘못이 가져온 환상입니다.
그러나 기억하십시오. 환상은 실재가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의 믿음(belief)일 뿐 사실(fact)이 아닙니다.
W-pI.95.2. You see yourself as a ridiculous parody on God's creation; weak, vicious, ugly and sinful, miserable and beset with pain. 2 Such is your version of yourself; a self divided into many warring parts, separate from God, and tenuously held together by its erratic and capricious maker, to which you pray. 3 It does not hear your prayers, for it is deaf. 4 It does not see the oneness in you, for it is blind. 5 It does not understand you are the Son of God, for it is senseless and understands nothing.
우리는 우리 자신을 신에 대한 패러디(parody, 풍자(諷刺))로 간주합니다. 성서에서 신이 자신을 닮은 인간을 창조했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우리의 모습이 곧 신의 모습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우리의 모습은 어떠합니까? 만약 우리의 모습이 정말로 신의 모습을 닮았다면, 신의 모습이야말로 얼마나 우스꽝스러운 것이겠습니까?
(T-24.VII.10) Thus is the body made a theory of yourself, with no provisions made for evidence beyond itself, and no escape within its sight. Its course is sure, when seen through its own eyes. It grows and withers, flourishes and dies. And you cannot conceive of you apart from it. You brand it sinful and you hate its acts, judging it evil. Yet your specialness whispers, "Here is my own beloved son, in whom I am well pleased." Thus does the "son" become the means to serve his "father's" purpose. Not identical, not even like, but still a means to offer to the "father" what he wants. Such is the travesty on God's creation. For as His Son's creation gave Him joy and witness to His Love and shared His purpose, so does the body testify to the idea that made it, and speak for its reality and truth.
하늘의 아버지(Father)와 아들(Son)의 관계가 이 세상에서의 아버지(father)와 아들(son)의 관계로 변모되는 희화화(戱畵化)가 이루어졌습니다. 우리는 하늘의 아버지에게 기도하는 대신 이 세상의 아버지에게 기도합니다. 그러나 이 세상의 아버지가 우리 기도를 들어줄 리는 없겠지요? 에고는 하늘과 신의 아들에 대해 아무것도 모릅니다.
아래 텍스트에서 분명하게 말합니다. 모든 우주에서 신의 아들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자는 바로 이 일시적인 이방인, 곧 에고입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에게 신의 아들을 어떻게 볼 것인가라고 묻습니다. 어떠세요? 동의하시나요?
(T-20.III.7) Seek not to make the Son of God adjust to his insanity. There is a stranger in him, who wandered carelessly into the home of truth and who will wander off. He came without a purpose, but he will not remain before the shining light the Holy Spirit offered, and you accepted. For there the stranger is made homeless and you are welcome. Ask not this transient stranger, "What am I?" He is the only thing in all the universe that does not know. Yet it is he you ask, and it is to his answer that you would adjust. This one wild thought, fierce in its arrogance, and yet so tiny and so meaningless it slips unnoticed through the universe of truth, becomes your guide. To it you turn to ask the meaning of the universe. And of the one blind thing in all the seeing universe of truth you ask, "How shall I look upon the Son of God?"
결국 우리는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그런데 오히려 우리는 진리를 환상으로 가져와 환상의 관점에서 진리를 해석하고, 환상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정당화하려고 합니다. 과연 그렇게 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 것인지 예수님은 우리에게 묻습니다.
(T-17.I.5:1-4) Think you that you can bring truth to fantasy, and learn what truth means from the perspective of illusions? Truth has no meaning in illusion. The frame of reference for its meaning must be itself. When you try to bring truth to illusions, you are trying to make illusions real, and keep them by justifying your belief in them.
W-pI.95.3. We will attempt today to be aware only of what can hear and see, and what makes perfect sense. 2 We will again direct our exercises towards reaching your one Self, which is united with Its Creator. 3 In patience and in hope we try again today.
이 세상에서 우리가 보고 듣고 말하는 모든 것은 전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것은 우리도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하늘을 떠날 때 우리 스스로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에, 우리의 개별성과 특별성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우리의 자아상(自我相)들을 내려놓지 못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지각하는 것이 실재라고 굳건히 믿고 있습니다.
오늘 우리는 진정으로 들을 수 있고 볼 수 있는 존재를 알아차리려 합니다. 그것은 물론 참나(Self)입니다. 그렇게 하려면 우리는 인내심을 가지고 고요함 안에서 기다려야 합니다.
W-pI.95.4. The use of the first five minutes of every waking hour for practicing the idea for the day has special advantages at the stage of learning in which you are at present. 2 It is difficult at this point not to allow your mind to wander, if it undertakes extended practice. 3 You have surely realized this by now. 4 You have seen the extent of your lack of mental discipline, and of your need for mind training. 5 It is necessary that you be aware of this, for it is indeed a hindrance to your advance.
지금까지 워크북의 지침대로 실천해 보려고 애썼던 분들은 위의 말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을 것입니다. 정말로 어렵지요? 특히 10분 이상 명상하려고 앉아있으면 온갖 잡생각들로 머리가 어지럽지요? 위의 말은 대체로 미국인들을 염두에 둔 것이겠지만, 우리라고 해서 다른 것은 아닙니다. 어느새 우리도 거의 미국화되어 있으니까요.
그렇다고 실망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렇다는 것을 솔직히 시인할 수 있는 것도 대단한 용기입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마음 훈련의 시발점이기도 합니다.
(T-2.VI.4:6) You are much too tolerant of mind wandering, and are passively condoning your mind's miscreations.
텍스트에서 예수님은 우리가 이러한 마음의 방황을 너무도 용인한다고 지적합니다. 이 말은 모든 것이 우리의 책임이라는 것을 알려주려는 것입니다. 결국 선택은 우리의 몫이니까요.
W-pI.95.5. Frequent but shorter practice periods have other advantages for you at this time. 2 In addition to recognizing your difficulties with sustained attention, you must also have noticed that, unless you are reminded of your purpose frequently, you tend to forget about it for long periods of time. 3 You often fail to remember the short applications of the idea for the day, and you have not yet formed the habit of using the idea as an automatic response to temptation.
이 워크북 훈련의 목적은 바로 유혹이 생길 때마다 거의 자동적으로 그것을 알아차리는 데 있습니다. 판단하려 하거나 화가 나려고 할 때,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정체를 보지 못하게 하려는 에고의 술책임을 알아차리는 것,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의 본래 모습인 사랑에 이르는 길을 가로막는 장애를 넘어설 수 있는 것, 바로 이것이 워크북 마음 훈련의 목적입니다.
그런데 아직 마음 훈련이 덜 된 우리로서는 자칫 오랫동안 이를 잊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능한 한 자주 우리가 왜 워크북 레슨을 하고 있는 것인지를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짧은 연습들은 이렇게 자주 상기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목적입니다.
W-pI.95.6. Structure, then, is necessary for you at this time, planned to include frequent reminders of your goal and regular attempts to reach it. 2 Regularity in terms of time is not the ideal requirement for the most beneficial form of practice in salvation. 3 It is advantageous, however, for those whose motivation is inconsistent, and who remain heavily defended against learning.
이 시점(마음 훈련이 부족한 시점)에서는 그래서 일종의 구조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그렇지만 시간적인 규정화는 결코 이상적인 것은 아니라고 바로 다음에 말하고 있습니다. 교사용 매뉴얼에서도 비슷한 말을 합니다.
(M-16.2:5) Routines as such are dangerous, because they easily become gods in their own right, threatening the very goals for which they were set up.
의식(儀式)은 까딱하면 그 자체가 우상(gods)이 되어 원래의 의도를 오히려 거스를 수 있습니다. 말하자면 매 시간 첫 5분을 오늘의 아이디어를 명상한다고 해서 모든 것이 다 이루어진 것처럼 착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정례화해서 실천하는 것 자체가 의무가 되고 당위가 되어버리면, 그것이 바로 우상인 것입니다. 원래의 뜻은 어디로 가버리고 형식만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러한 배움에 저항이 강한 초보자의 경우, 어느 정도의 구조화는 필요합니다. 우리는 대체로 초보자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하겠지요? 최소한 워크북 레슨을 한 번 정도는 마친 다음에라야 비로소 초보자의 단계를 벗어났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M-16.3) At the beginning, it is wise to think in terms of time. This is by no means the ultimate criterion, but at the outset it is probably the simplest to observe. The saving of time is an essential early emphasis which, although it remains important throughout the learning process, becomes less and less emphasized. At the outset, we can safely say that time devoted to starting the day right does indeed save time. How much time should be so spent? This must depend on the teacher of God himself. He cannot claim that title until he has gone through the workbook, since we are learning within the framework of our course. After completion of the more structured practice periods, which the workbook contains, individual need becomes the chief consideration.
우리가 이 세상에 있다는 것 자체가 신의 사랑에 대한 공격이며, 그것을 제한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의식적으로 그러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원초적으로 그러한 목적으로 하늘을 떠난 우리이기에 깊은 무의식 속에 이러한 동기가 살아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W-pI.95.7. We will, therefore, keep to the five-minutes-an-hour practice periods for a while, and urge you to omit as few as possible. 2 Using the first five minutes of the hour will be particularly helpful, since it imposes firmer structure. 3 Do not, however, use your lapses from this schedule as an excuse not to return to it again as soon as you can. 4 There may well be a temptation to regard the day as lost because you have already failed to do what is required. 5 This should, however, merely be recognized as what it is; a refusal to let your mistake be corrected, and an unwillingness to try again.
위 문단은 어떤 의미에서는 아주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워크북 레슨의 지침대로 행하지 못하는 경우, 어떤 반응을 보이시나요? 매시간 첫 5분을 오늘의 주제에 대해 명상하라고 했는데 한 번 놓쳐버렸을 때 어떤 생각이 드나요?
“이런, 이미 틀렸군! 오늘은 포기다. 내일 다시 해봐야지.” 라고 생각하지는 않나요? 그런데 이런 태도를 가지면 아마도 영원히 다음 레슨으로 넘어갈 수 없을 것입니다. 일반 사람의 경우, 매 시간 첫 5분을 빠트리지 않고 오늘의 주제에 대해 명상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니까요.
이렇게 생각하도록 만드는 것 자체가 에고의 유혹입니다.
원초에 불가능한 생각이 들었을 때 우리는 그것을 웃어넘기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그야말로 사소한 잘못이었지만 우리는 그것을 너무도 심각하게 받아들였으며, 그래서 다시 선택하려 하지 않았습니다. 한 번 지키지 못했다는 사실을 너무 진지하게 생각하는 것은 이 원초적인 실수의 반복입니다. 우리는 물론 그렇게까지는 생각하지 않지만, 깊은 무의식의 차원에서 그렇게 작용한다는 것입니다.
(T-26.V.13:1) Each day, and every minute in each day, and every instant that each minute holds, you but relive the single instant when the time of terror took the place of love.
위에서 우리는 매 순간 그 원초적인 선택을 되풀이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다시 선택할 때까지는 이러한 반복이 끊임없이 이어질 것입니다.
우리에게 지금 필요한 것은 이렇게 한 번의 잘못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웃어넘길 수 있는 마음의 여유입니다. 이렇게 불완전한 것이 바로 우리의 모습임을 알아차린 후, 그러한 우리의 모습을 용서하는 것이 워크북 레슨을 완전하게 실천하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T-27.VIII.6:2-5) Into eternity, where all is one, there crept a tiny, mad idea, at which the Son of God remembered not to laugh. In his forgetting did the thought become a serious idea, and possible of both accomplishment and real effects. Together, we can laugh them both away, and understand that time cannot intrude upon eternity. It is a joke to think that time can come to circumvent eternity, which means there is no time.
하나의 작은 미친 생각이 틈새를 파고 들었을 때, 신의 아들은 그것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였으며, 자신의 힘으로 하늘을 떠나 새로운 창조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이것이 원초적인 분리의 시작이었으며, 우리는 아직도 그 순간을 계속 반복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실수나 잘못은 우리로 하여금 다시 선택할 수 있는 기회인 것입니다. 실수 때문에 죄책감을 느낄 것이 아니라 바로잡을 수 있는 기회로 여기는 것입니다.
W-pI.95.8. The Holy Spirit is not delayed in His teaching by your mistakes. 2 He can be held back only by your unwillingness to let them go. 3 Let us therefore be determined, particularly for the next week or so, to be willing to forgive ourselves for our lapses in diligence, and our failures to follow the instructions for practicing the day's idea. 4 This tolerance for weakness will enable us to overlook it, rather than give it power to delay our learning. 5 If we give it power to do this, we are regarding it as strength, and are confusing strength with weakness.
실수를 웃어넘기지 않으려는 태도, 그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려는 태도가 마음 훈련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요인입니다. 그러한 우리의 약함을 너그러이 받아들이고, 그것을 배움을 지연시키는 핑계로 삼지 않는 것이 워크북 레슨을 잘 할 수 있는 비결(秘訣)입니다.
W-pI.95.9. When you fail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this course, you have merely made a mistake. 2 This calls for correction, and for nothing else. 3 To allow a mistake to continue is to make additional mistakes, based on the first and reinforcing it. 4 It is this process that must be laid aside, for it is but another way in which you would defend illusions against the truth.
잘못이나 실수는 고치면 그만입니다. 그것은 벌을 받아야만 하는 죄는 아닙니다. 우리가 실수를 범하는 이유는 두려움 때문이지 악이나 죄 때문이 아닙니다. 이 둘을 잘 구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성령은 끊임없이 우리는 죄를 짓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우리의 정체는 하늘을 떠난 적이 없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Atonement 원리를 받아들이기만 하면 우리는 구원됩니다. 참으로 간단해 보이는데 실천하기는 너무도 어려운 것 같습니다.
(M-18.3) Anger but screeches, "Guilt is real!" Reality is blotted out as this insane belief is taken as replacement for God's Word. The body's eyes now "see"; its ears alone can "hear." Its little space and tiny breath become the measure of reality. And truth becomes diminutive and meaningless. Correction has one answer to all this, and to the world that rests on this:
You but mistake interpretation for the truth. And you are wrong. But a mistake is not a sin, nor has reality been taken from its throne by your mistakes. God reigns forever, and His laws alone prevail upon you and upon the world. His Love remains the only thing there is. Fear is illusion, for you are like Him.
W-pI.95.10. Let all these errors go by recognizing them for what they are. 2 They are attempts to keep you unaware you are one Self, united with your Creator, at one with every aspect of creation, and limitless in power and in peace. 3 This is the truth, and nothing else is true. 4 Today we will affirm this truth again, and try to reach the place in you in which there is no doubt that only this is true.
잘못을 보내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그것을 있는 그대로, 잘못을 잘못으로 인지하면 그만입니다. 달리 무엇을 하거나 성취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ACIM에서는 환상을 환상으로 직시할 것을 강조합니다. 그렇게 보는 것이 환상을 극복하는 첫걸음이기 때문입니다. 그것도 혼자 보려고 하지 말고 예수님이나 성령과 함께 보라는 것입니다. 오만하게 스스로 할 수 있다고 판단하지 말고 겸허하게 도움을 요청하라는 것입니다.
잘못이란 우리의 정체를 보지 못하도록 만든 술책일 뿐입니다. 거기에 속아 넘어가지 않겠다는 용의만 있으면 됩니다.
W-pI.95.11. Begin the practice periods today with this assurance, offered to your mind with all the certainty that you can give:
2 I am one Self, united with my Creator, at one with every aspect of creation, and limitless in power and in peace.
3 Then close your eyes and tell yourself again, slowly and thoughtfully, attempting to allow the meaning of the words to sink into your mind, replacing false ideas:
4 I am one Self.
5 Repeat this several times, and then attempt to feel the meaning that the words convey.
고요한 가운데 눈을 감고,
“나는 참나(Self)이다.” 라고 속으로 천천히 말하면서
그 의미가 마음 깊은 곳으로 스며들도록 해보십시오.
참나는 개별적인 존재가 아닙니다.
나는 물론이고 모든 창조의 측면(aspect)들이 참나 안에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aspect 란 우리가 분리된 것으로 지각하는 모든 대상을 말합니다.)
W-pI.95.12. You are one Self, united and secure in light and joy and peace. 2 You are God's Son, one Self, with one Creator and one goal; to bring awareness of this oneness to all minds, that true creation may extend the allness and the unity of God. 3 You are one Self, complete and healed and whole, with power to lift the veil of darkness from the world, and let the light in you come through to teach the world the truth about yourself.
이 하나임(oneness)을 모든 마음에게 일깨우는 것이 바로 우리의 목적입니다. 진정한 창조란 바로 이 모두(allness)이면서 동시에 하나(unity)인 신의 본질의 확장임을 자각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러한 신의 본질의 확장인 창조가 곧 참나이며, 우리 모두는 바로 이 참나 안에서 하나입니다. 우리는 신의 한 아들입니다.
W-pI.95.13. You are one Self, in perfect harmony with all there is, and all that there will be. 2 You are one Self, the holy Son of God, united with your brothers in that Self; united with your Father in His Will. 3 Feel this one Self in you, and let It shine away all your illusions and your doubts. 4 This is your Self, the Son of God Himself, sinless as Its Creator, with His strength within you and His Love forever yours. 5 You are one Self, and it is given you to feel this Self within you, and to cast all your illusions out of the one Mind that is this Self, the holy truth in you.
우리의 정체에 대한 선언입니다.
우리는 죄없는(sinless) 신의 거룩한 아들이며, 형제들과 함께 참나 안에서 하나이며, 아버지의 뜻 안에서 아버지와 하나입니다.
이 점을 깊이 명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W-pI.95.14. Do not forget today. 2 We need your help; your little part in bringing happiness to all the world. 3 And Heaven looks to you in confidence that you will try today. 4 Share, then, its surety, for it is yours. 5 Be vigilant. 6 Do not forget today. 7 Throughout the day do not forget your goal. 8 Repeat today's idea as frequently as possible, and understand each time you do so, someone hears the voice of hope, the stirring of the truth within his mind, the gentle rustling of the wings of peace.
“잊지 말라!”는 말이 세 번 나옵니다.
결국 우리가 우리의 정체를 잊은 것이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할 일이란 우리의 정체를 다시 기억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기억할 때마다 누군가가 희망의 음성을, 그의 마음 안에서 진리가 꿈틀거리는 것을, 그리고 평화의 부드러운 날개 짓 소리를 들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비록 우리는 그가 누군지 알지 못할지라도 우리를 통해 누군가가 다시 기억하게 될 것입니다.
W-pI.95.15. Your own acknowledgment you are one Self, united with your Father, is a call to all the world to be at one with you. 2 To everyone you meet today, be sure to give the promise of today's idea and tell him this:
3 You are one Self with me, united with our Creator in this Self. 4 I honor you because of What I am, and What He is, Who loves us both as one.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그는 당신과 한 참나임을 알려주십시오.
모든 만남은 그래서 거룩한 만남입니다.
(T-8.III.4:1-7) When you meet anyone, remember it is a holy encounter. As you see him you will see yourself. As you treat him you will treat yourself. As you think of him you will think of yourself. Never forget this, for in him you will find yourself or lose yourself. Whenever two Sons of God meet, they are given another chance at salvation. Do not leave anyone without giving salvation to him and receiving it yourself.
이러한 거룩한 만남을 통하여 분리와 특별성이라는 에고의 잘못된 지각을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만남은 기억을 위한 기회이며 선물입니다.
[출처] LESSON 95 : 나는 참나로서 나의 창조주와 하나이다.|작성자 여천
'의식 상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영(靈)입니다 (0) | 2017.08.26 |
---|---|
구원은 나의 한 참나로부터 옵니다 (0) | 2017.08.26 |
이것은 영원히 끝나지 않는 게임입니까? (0) | 2017.08.25 |
욕심이 없으면 모든 것이 넉넉하다 (0) | 2017.08.25 |
가슴의 길을 따르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0) | 2017.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