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 상승

우리가 진짜 깨달음을 원하는 것일까?

빛몸 2018. 8. 17. 05:56

 

 

 

우리가 진짜 깨달음을 원하는 것일까?


 

 

지금 주제와 상관이 있는 어떤 얘기가 생각납니다.

너무 오래 전에 읽은 것이라 골격만 생각나서 세부는 제 창작이 되고 말았습니다만, 같이 생각해 보도록 하지요.

 

 

한 깨달은 스승이 있었습니다.

 

오랫동안 많은 제자들에게 가르침을 전해왔는데 이제 노쇠해서 더 이상 버틸 기력이 없습니다.

 

이 전에도 몇 차례 제자들에게 “이제는 힘들어 몸을 벗으려 한다.”고 통보한 적이 있었지만, 그때마다 제자들이 애걸복걸, “스승님이 안계시면 저희는 어쩌란 말입니까?” 하여 그 뜻을 굽혔었는데, 이제는 더 이상 미룰 수가 없습니다.

 

게다가 그렇게 힘들게 몸 벗음을 미루고 제자들을 지도했건만, 수행에 큰 성취를 보인 제자는 찾아볼 수 없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정말 마지막으로 제자들에게 통보를 하게 됐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이번에도 제자들은 울고불고, 어떤 자는 혼절까지 하면서, “저희들을 버리지 마시고 제발 깨달음으로 이끌어 주십시오!” 라고 매달렸습니다.

 

이에, 스승께서는, “너희들의 뜻이 갸륵하여 내 법계(法系)의 이치에는 어긋나지만, 너희 중 진정으로 깨달음을 원하는 이가 있다면, 내 가는 길에 그를 동행할 수 있게 하리라.”

 

“허니, 진정으로 깨달음의 길, 무아(無我)의 무여열반(無餘涅槃) 길에 들고자 하는 이는 3일 후 나와 동행할 수 있도록 은혜를 베풀겠노라.”

 

“물론 이 길은, 한 번 들어가면 다시는 되돌아오지 못함도 잘들 알고 있을 터이니, 이 점을 잘 생각해 보고, 사흘 뒤에 보기로 하자.”

 

제자들은 감지덕지, 스승께 고마움을 표하고 각자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그리고 약속한 사흘 후, 스승과 제자들이 다시 모였습니다.

 

“그래 다들 생각해 보았느냐?”

 

“누가 나와 함께 깨달음의 길로 갈 것이냐? 나와 봐라.”

 

“......”

 

아무도 나서는 이가 없었습니다.

 

스승은 수제자를 보고 눈짓으로 물었습니다.

 

“스승님께서도 알고 계시는 것처럼 저는 앓고 계시는 어머님이 오늘 내일 합니다. 그 마지막 가시는 길이나 보살펴야지, 제가 떠나고 나면 누구도 그걸 할 사람이 없습니다. 그러니 아쉽지만 저는 그 길을 갈 수가 없습니다.”

 

두 번째 제자도 피치 못할 사정이 있답니다.

 

“다들 아시는 것처럼 제가 두 딸 다음에 세 번째로 아들을 본 게 얼마 되지를 않습니다. 그 녀석 젖이라도 떼는 걸 볼 때까지는 제가 뒤치다꺼리를 해야만 합니다. 그러니 아쉽지만 깨달음은 그 다음으로 미뤄야 할 것 같습니다.”

 

핑계 없는 이가 없습니다.

 

그래서 스승은 예정대로, 법계의 이치를 어기지 않고 홀로 길을 떠났습니다.

 

 

만약 저에게 그런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쨌을까요?

 

당신이라면 어떻게 했을까요?

 

당신께서는 어떠할지 모르겠습니다만, 제 답은,.....

아마 이 얘기에 등장하는 제자들과 다르지 않을 것 같습니다.

 

참 허망한 얘기지요?

 

마음공부를 한다고 하면서도, 막상 그런 천재일우의 기회, 로또 복권이 당첨된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물러서는 자신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뭐 크게 낙담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 때가 되어야지, 불교 용어로 시절인연(時節因緣)이 맞아야 되겠지요.

 

이렇게 태연할 수 있다는 게, 위로가 됩니다.

 

 

- 오쇼 <많은 일들이 그리고 아무 일도>  ( 지음/ 이종수 옮김, 황금꽃)